개발30 파일럿 프로젝트 시작하기 - 프로젝트 세팅 블로그를 오랜만에 쓰는 것 같다. 그동안 코딩테스트도 준비하고 강의 듣느라 프로젝트 시작하면 다시 정리 시작해야지 싶어서 이제야 쓰게 된다.. 여러 가지를 동시에 공부하고 싶은데 하나에 집중하면 그거만 파게 돼서 잘 안된다.. ㅎㅎ 이직준비를 하면서 실무에서 쓰던 코드들 감을 잃으면 안될 것 같기도 하고 SpringBoot2 버전으로 개발 했었는데 3버전으로도 개발 해보려고 혼자 프로젝트를 진행하려고 마음 먹었다. 그래서 아마 앞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알게된 것들이나 기록해야할 것 같은 것들 위주로 글을 적을 것 같다. 익숙한거 써야지 하고 DB를 mariadb 쓰려고 했는데 얼마전에 전에 다니던 회사분들 만났는데 그 때 팀장님이 mysql을 쓰라고... 간단하게 mariadb로 프로젝트 하나 만들고.. 2023. 8. 16. mariadb - DB 생성 및 IntelliJ 연동 저번 글에서는 docker를 사용하여 mariadb를 설치하고 접속하는 것까지 작성했다. 오늘은 mariadb에 접속하여 DB를 생성하고 사용자 계정을 만들어 권한을 주는 거까지 진행하고 인텔리제이에서 DB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포스팅하려고 한다. 우선 mariadb -u root -p로 접속한 상태에서 진행하면 된다. 1. database 확인 show databases; 데이터베이스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보여준다. 2. database 생성 create database pilot; 나는 파일럿 프로젝트를 진행할거라 DB 이름을 pilot이라고 지정했다. pilot 자리에 원하는 DB명을 적으면 된다. DB 생성 후에 다시 show databases; 로 제대로 생성되었는지 확인한다. 3. 계정 생.. 2023. 7. 20. Docker로 mariadb 사용하기 개인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앞서 DB를 어떤걸 사용할까 하다가 mariadb에 익숙해 그것으로 결정했다. 나는 docker를 사용해 mariadb를 사용했고, mac m2를 기준으로 글을 작성하려고 한다. 우선 나는 docker를 homebrew를 사용해 설치했다. 터미널에서 밑의 명령어를 입력했다. brew install --cask docker 도커가 다 설치 된 후 도커를 활용해 mariadb를 설치하면 된다. 1. mariadb 이미지 다운로드 docker pull mariadb 버전을 따로 지정하지 않고 mariadb를 받으면 최신 버전의 이미지를 다운받게 된다. 2. 다운로드 된 이미지 확인 docker image ls 3. docker 컨테이너 실행 docker run --name mariadb.. 2023. 7. 19. Swagger 적용하기 - SpringBoot3 버전 이전 글에서는 swagger를 사용하기 위해 springfox를 사용했다. 하지만 spring boot 3 부터는 javax.*가 아닌 jakarta.*를 사용한다. 그래서 javax.*를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들이 정상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생겼고 springfox도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 적용법은 기존 방식보다 굉장히 간단해졌다. 1. build.gradle implementation("org.springdoc:springdoc-openapi-starter-webmvc-ui:2.0.2") 2. application.yml springdoc: api-docs: path: /api-docs swagger-ui: path: /swagger-ui.html packages-to-scan: 3. url 허용 "/a.. 2023. 7. 18. 이전 1 ··· 4 5 6 7 8 다음